본문 바로가기
건축&인테리어/식물

[오늘의식물]기린초 잘키우는법/정보

by 한초-리 2025. 1. 3.
기린초가 담긴 화분 햇살 속 평온한 순간
기린초가 담긴 화분 햇살 속 평온한 순간

1. 간단 설명

기린초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특히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잎과 줄기가 두껍고 수분을 저장할 수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에 유리한 식물입니다.

2. 학술 정보

기린초의 학명은 Sedum telephium으로, 돌나물과(Crassulaceae) 기린초속(Sedum)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유럽과 아시아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계는 식물계(Plantae), 문은 속씨식물문(Angiosperms), 강은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목은 장미목(Rosales), 과는 돌나물과(Crassulaceae), 속은 기린초속(Sedum), 종은 기린초(Sedum telephium)입니다. 비슷한 종류로는 돌나물(Sedum sarmentosum)이 있습니다.

3. 식물 상세 정보

기린초는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 특히 화분에서 키우기 용이합니다. 흙 배합은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 좋으며, 일반적인 배합은 피트모스 50%, 펄라이트 30%, 마사토 20%의 비율로 섞습니다. 수경재배도 가능하나, 뿌리의 수분 조절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경험이 있는 분들에게 추천됩니다. 삽목과 접목이 모두 가능하며, 삽목은 봄과 가을에 가장 적합합니다. 물주는 주기는 여름에는 일주일에 1~2회, 겨울에는 2주에 1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실내 밝은 곳에서 잘 성장하며, 가격대는 1,000원에서 5,000원 사이로 저렴합니다. 관련된 일화로는, 옛날 농부들이 기린초를 집 주변에 심어 집의 풍수를 좋게 하고자 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4. 병충해 증상과 막는법

기린초는 병충해에 강한 식물이지만, 간혹 깍지벌레나 응애에 의해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깍지벌레는 잎과 줄기에 흡착해 수액을 빨아먹으며, 잎이 노랗게 변하거나 말라죽을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잎을 관찰하고, 초기 발견 시에는 살균제를 사용하거나 면봉에 알코올을 묻혀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과도한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환경에서 기르면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5. 총평

기린초는 관리가 쉬우며,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특히 초보자에게 적합한 식물로, 실내 공기 정화와 인테리어 효과가 뛰어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어 부담 없이 키울 수 있는 식물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